대구시 가족돌봄 아동·청년 지원, 현장 목소리 담는다

김정희 기자 / 2025-09-17 17:35:47
조례 시행 이후 현장목소리 반영 위한 첫 대규모 정책 포럼 개최
▲ 대구시 가족돌봄아동 청년지원 공동협력포럼(차일드키퍼 위촉식)

[뉴스시대=김정희 기자] “고등학생 A양은 부모님의 간병을 도맡으며 학업과 돌봄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병원 동행과 집안일로 결석이 늘고 친구들과도 멀어졌지만, 주변에서는 이를 제도적 문제로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대구광역시는 이러한 아동·청년의 현실에 응답하고자, 지난 8월 '가족돌봄 청소년·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전부개정하고, 9월 17일(수) 대구어린이세상 꾀꼬리극장에서 포럼을 열고 교육·복지·행정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은 대구시와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사회복지관협회,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대구지역본부가 공동 주최했으며, 대구시 및 9개 구·군 아동·청년 담당자, 교육청 관계자, 사회복지 종사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해 현장의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조례 개정으로 정책 방향이 보다 명확해졌다는 데 공감하며, 실질적인 지원사업 연계 방안, 학교 현장의 조기 발굴시스템 등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제안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가 돌봄 아동, 청소년을 발견해도 연계할 제도적 경로가 부족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조례를 바탕으로 교육과 복지기관 간 상시 협조체계를 제도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장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조례 개정을 통해 정책의 큰 방향은 정립된 만큼 학교, 복지기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등 서로 협력해 돌봄청년을 조기에 발굴하고 실질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대구시는 '대구광역시 가족돌봄 청소년 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전부개정 ’25.8.11.)를 토대로 2026년부터 가족돌봄 아동·청년에 대한 통합 지원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며, 현재는 시행계획 수립과 현장 의견 반영을 위한 준비 단계에 있다.

이번 포럼은 향후 정책 실행의 기반이 되는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제도 설계 초기부터 협력적 대응체계를 마련하겠다는 대구시의 강한 정책 의지를 보여준 자리로 평가된다.

김태운 대구광역시 보건복지국장은 “보호받아야 할 시기에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거나 아픈 가족을 돌보며 자신의 삶을 미뤄야 했던 아동과 청년은 우리가 반드시 손잡고 함께 가야 할 소중한 구성원이라며, 실질적인 정책과 제도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뉴스시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